금융용어

리츠에 대해 알아보자

Tconomics 2021. 1. 12. 23:20

상장리츠 투자할때 알아야할 리츠의 정의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란

부동산 투자회사법 제2조 제1호에 따라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관련 증권에 투자하고 운영하여 수익을 출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를 말합니다.

 

 

산을 부동산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것으로 법 제3조부터 제8조까지, 11조의2, 45조 및 제49조의2 1항제2호에 적합하게 설립된 회사 : 자기관리 ·   위탁관리 ·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법 제2조제1)

 

 

국토교통부에서 정의하는 리츠의 목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소액으로 대규모 상업시설 또는 건물들을 투자할 수 있는 리츠는 , 소액으로 우량 부동산의 투자기회를 간접적으로 제공합니다.

 

하지만 부동산가격안정과 건설시장 활성화도모 는 동의하기가 어려운것 같습니다.

 

또한 기업들의 부동산유동화를 목적으로 리츠를 발행하기도 합니다.

이랜드리테일이 그 예이기도 합니다.

 

아래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리츠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입니다. 

비교적 높은 배당 수익율을 리츠가 제공하며 , 상장된 리츠의 경우 주식거래를 통해 손쉽게 현금으로 전환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유동성이 없다면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건물가치가 훼손된경우에도 주가가 하락하여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전문인력이 부동산관련 투자 또는 부동산직접운용을 하기때문에 내가 신경쓸 필요 없다는점이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갓물주 하는데 임대료를 내지않는 임차인이 있다면 건물주도 힘들겠죠? 그걸 대행해서 관리해주니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덜받게 됩니다. ( 배당이 안들어오면 스트레스 가 증가합니다 ! )

4,5 번은 동의하지않는 내용이기에 스킵합니다.

4번같은경우에는 다산리츠의 케이스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현재 상장된 리츠는 12개이며 18년 이후에 9개의 리츠가 상장해 있습니다.

 

리츠 투자하기전 읽어보시고 합리적인 투자가 진행되었으면 합니다. 

주식 정보 및 기업 정보, 그에대한 의견은 전적으로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어떠한 투자에도 근거가 될 수 없으며 본 정보를 이용한 투자에 대한 책임은 해당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이랜드리테일이 유동화한 이리츠코크랩

리츠에 대해 알아보자 상장리츠 투자할때 알아야할 리츠의 정의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란 부동산 투자회사법 제2조 제1호에 따라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관련 증권에 투

tconomics.tistory.com

 

 

신한금융그룹이 만든 첫번째 리츠 ! 신한알파리츠

리츠의 정의가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페이지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tconomics.tistory.com/65?category=868897 2021년 기준 신한 알파리츠는 5개의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다섯개의 건물을 포

tconomic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