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자산 2

유형자산 2

9.1 감가상각비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비는 수익 비용 대응 원칙에 따라 수익이 창출되는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정액법과 정률법 등의 방법이 있다. 유형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취득원가를 자산의 효익이 제공하는 기간동안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배분하는 것이다. 감가상각대상금액 = 자산의 취득원가 - 잔존가액 내용연수 = 자산의 경제적 수명 감가상각 방법 = 정액법, 정률법,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9.1.1 정액법 자산의 사용연수에 걸쳐 균등하게 감가상각비를 인식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 - 잔존가액 ) / 내용연수 9.1.2 정률법 유형자산의 기초장부금액에 상각률을 곱해서 감가상각비를 인식 감가상각비 = ( 취득가액 - 감가상각누계액 ) x 상각률 9.1.3 연수합계법 9.1..

회계/회계원론 2020.11.30

투자자산 유형자산 1

8.1 비유동자산의 정의 및 분류 비유동자산은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으로 구성된다. 유동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자산항목으로 결산일로부터 1년을 초과하여 보유하게 될 자산 8.1.1 투자자산 투자수익을 목적으로 보유하며, 주된 영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자산 - 투자부동산, 장기금융상품, 매도가능증권, 만기보유증권, 지분법적용투자주식 등 8.1.2 유형자산 주된 영업수익 창출과 관련하여 보유하며 구체적 형태가 있는 자산 - 토지, 건물, 기계장치, 비품 등 8.1.3 무형자산 주된 영업수익 창출과 관련하여 보유하며 구체적 형태가 없는 자산 - 영업권 , 산업재산권, 개발비 등 8.1.4 기타비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중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에 속하지 않는 자산 - 이연법인세 자산, ..

회계/회계원론 2020.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