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 수익의 의의 및 측정 인식시기
수익이란 주된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출액과 주된 영업활동 이외에서 발생하는 영업외 수익으로 구성되며, 재화는 판매기준, 용역은 진행기준에 따라 수익을 인식한다.
수익이란 영업활동과 이에 부수되는 기타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산의 증가액 또는 부채의 감소액이다.
수익의 증가 -> 당기순이익의 증가 -> 이익 잉여금의 증가 -> 자본 증가
수익의 측정은 손익계산서에서 계상 할 수익의 금액을 화폐액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대가를 현금으로 받은 경우 수익은 받은 현금 금액을 사용하고 대가를 현금 이외의 자산으로 받은 경우에는 자산의 공정가액을로 인식한다.
실현주의
- 수익창출활동이 완료되거나 실질적으로 거의 완료되어야 한다.
( 재화는 인도기준으로, 용역은 진행기준으로 인식한다 )
- 수익창출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을 합리적으로 측정 할 수 있어야 한다.
기업회계기준 제 35조 ( 손익계산서 작성 기준 )
모든 수익과 비용은 그것이 발생한 기간에 정당하게 배분되도록 처리 하여야 한다.
수익은 실현시기를 기준으로 계상하고 미실현 수익은 당기의 손익계산에 산입하지 아니함을 원칙으로 한다.
재화의 수익인식시기
판매기준
수익을 판매시점에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실현주의 요건을 가장 잘 충족시키는 수익인식기준이다.
판매시점에서 상품이나 제품의 제공으로 회사의 업무가 거의 대부분 이행되었고 또한 회사가 회수할 현금이나 현금청구권의 금액을 객관적으로 측정 할 수 있다고 보는 것 이다.
용역의 수익 인식시기
진행기준으로
용역제공의 결과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을 때 적용한다.
완성기준
용역제공의 결과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을 때 적용한다.
15.2 매출과 영업외수익
매출은 회사의 주된 영업활동으로부터 벌어들인 수익이고, 영업외수익은 회사의 주된 영업화동 이외의 보조적 또는 부수적인 활동에서 벌어들인 수익이다.
현금 판매시 |
|||
현금 |
xx |
매출 |
Xx |
매출원가 |
xx |
제품 |
xx |
외상판매시 |
|||
매출채권 |
xx |
매출 |
Xx |
매출원가 |
xx |
제품 |
xx |
영업외 수익
이자수익, 단기매매증권 평가이익, 유형자산 처분이익
배당금수익, 외환차익, 사채상환이익, 임대료, 외화환산이익, 법인세 환급액, 유가증권 처분이익, 투자자산처분이익, 잡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