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비유동부채의 종류와 의의
비유동부채의 종류는 사채, 장기차입금 , 장기성매입채무, 퇴직급여충당부채가 있으며 이를 통해 자금과 재원을 조달할 수 있다.
12.1.1 사채
회사가 일반투자자들에게 원리금 상환을 약속하고 발행하는 유가증권
12.1.2 장기차입금
1년 이후에 상환되는 차입금
12.1.3 장기성 매입채무
지급기일이 1년 또는 정상적인 영업주기 이후에 도래하는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
12.1.4 퇴직급여 충당부채
장래에 종업원의 퇴직시에 지급되는 퇴직금에 대비하여 설정한 준비액
12.2 장기차입금의 정의와 의의
장기차입금은 금융기관에서 차입한 만기가 1년을 초과하는 자금으로 장기적인 시설투자 등에 유용하고 안정적인 자금조달수단이다.
빌린돈 -> 차입금 -> 이자비용
빌려준돈 -> 대여금 -> 이자수익
단기차입금 결산일로부터 1년 이내에 원금을 상환해야 하므로 회사의 자금사정에 상당한 압박이 있다. 보통 자금조달을 단기차입금으로 진행하지 않는다.
장기차입금 원금상환을 상당기간 유예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시설투자 등에 유용하고 안정적인 자금조달 수단으로 이용된다. 단기차입금과 마찬가지로 차입한돈에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
장기차입금의 회계처리 |
|||
현금 |
xx |
장기차입금 |
Xx |
이자비용 |
|
현금 |
|
12.3 퇴직급여충당부채와 퇴직금제도
퇴직급여충당부채는 수익 비용대응의 논리에 따라 결산 시에 설정하는 퇴직금 관련 비유동부채이다.
퇴직금
종업원이 입사한 때부터 퇴사할 때까지 회사를 위해 근로를 제공한 대가로 퇴직 시 일시에 지급하는 비용
퇴직급여충당부채의 발생 |
|||
퇴직급여 |
xx |
퇴직급여충당부채 |
Xx |
퇴직급여충당부채
장래에 종업원이 퇴직 할 때 지급할 퇴직금에 대비하여 설정한 준비액으로서 종업원이 근로를 제공한 기간에 발생된 퇴직금을 비용으로 인식함에 따라 발생하는 부채계정
퇴직급여
퇴직금을 매 회계연도에 비용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비용계정
퇴직일시금 제도
임직원이 퇴직할 경우 퇴직금을 일시에 지급하는 제도
- 기업 입장에서 보면 임직원이 퇴직 할 때 많은 퇴직금을 일시에 지급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 기업 도산시 임직원은 퇴직금을 한푼도 받지 못할 사태가 발생 할 수 있다.
퇴직연금제도
회사가 퇴직금을 자체적으로 보유하지 않고 퇴직금을 지급할 목적으로 금융기관에 퇴직금을 에치하여 금융기관을 통해 퇴직한 근로자에게 퇴직금을 연금이나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제도
가. 확정기여형
기업의 부담금이 사전에 정해지고 근로자가 적립금 운용의 책임을 진다.
기업의 법적의무나 의제의무는 기업이 기금에 출연하기로 약정한 금액까지로 한정한다.
종업원이 받을 퇴직급여액은 기업과 종업원이 퇴직급여제도나 출연하는 기여금과 그 기여금에서 발생하는 투자수익에 따라 결정된다.
나. 확정급여형
근로자의 퇴직연금이 사전에 정해지고 기업이 적립금운용을 책임진다.
기업의 의무는 약정한 급여를 전현직 종업원에게 지급하는 것이며 투자위험은 실질적으로 기업이 부담한다.
투자실적에 따라 기업의 의무금액은 변돌 할 수 있다.
퇴직급여 지급시 |
|||
퇴직급여충당부채 |
xx |
현금 |
Xx |
퇴직급여 |
|
|
|
12.4 사채의 발행논리와 회계처리
일반투자자로부터 널리 자금을 조당할 수 있는 자금조달 수단인 사채는 액면이자율과 시장이자율에 따라 액면발행, 할증발행, 할인발행의 발행형태가 있다.
사채 주식회사가 회사의 채무를 나타내는 증서를 발행해주고 일반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사채의 계정
발행자 : 비유동부채인 사채로 회계처리를 해야 한다.
투자자 : 매도가능증권 또는 만기보유증권으로 획리를 하게 된다.
12.4.1 액면발행
액면이자율을 시장이자율과 같게 발행한다.
액면발행 |
|||
현금 |
xx |
사채 |
Xx |
12.4.2 할증발행
액면이자율을 시장이자율보다 높게 발행한다.
할증발행 |
|||
현금 |
xx |
사채 |
Xx |
|
|
사채할증발행차금 |
xx |
14.4.3 할인발행
액면이자율을 시장이자율보다 낮게 발행한다.
할인발행 |
|||
현금 |
xx |
사채 |
Xx |
사채할인발행차금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