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재고자산의 의의
재고자산은 판매목적인 실물자산으로 원재료, 상품, 제품, 재공품 등이 있으며 재고자산의 원가는 판매여부에 따라 매출원가 또는 기말재고자산으로 배분된다.
7.1.1 재고자산
회사의 일반적 상거래 또는 주된 영업활동 과정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실물 자산
가. 상품
- 영업활동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구입한 물건
나. 제품
- 영업활동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제조한 물건
다. 원재료
- 제품을 제조할 목적으로 구입한 원재료
라. 재공품
- 제품의 제조를 위해 제조과정에 있는 것
7.2.1 매출원가
매출액에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비용으로서 판매된 자산의 취득원가
판매가 될 때 비용으로 처리된다.
재고자산이 중요한이유 -> 이윤창출의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2재고자산의 원가는 판매분과 미판매분으로 배분된다.
배분방법에 따라 당기순이익이 변동되므로 재고자산을 부풀리려는 분식회계의 유인이 있다.
기말재고를 높여 비용을 낮추는 분식회계 발생
재고자산 |
|||
기초 |
xx |
매출원가 |
Xx |
당기구입 |
xx |
기말 |
|
7.2 재고자산의 평가
재고자산의 수량산정의 방법은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혼합법이 있으며 단가 산정의 방법은 개별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평균법이 있다.
기말재고자산 = 수량의 산정 x 취득단가의 산정
7.2.1 재고자산의 수량산정
가. 계속기록법
기중에 매출원가를 일일이 기록 ( 기초재고수량 + 당기매입수량 - 당기판매수량 = 기말재고수량 )
나. 실지재고조사법
기말에 재고자산의 수량을 직접 파악
기초재고수량 + 당기매입수량 - 기말재고수량 = 당기판매수량
다. 혼합법 (병행법)
계속기록법 + 실지재고조사법
기초재고수량 + 당기매입수량 = 당기판매수량 + 기말재고수량 + 감모수량
감모손실( 도난이나 파손 분실등을 이유로 손실 )
7.2.2 재고자산의 취득단가 산정
가. 개별법
- 매입단가를 개별적으로 식별
나. 선입선출법
- 재고자산의 실제물량흐름과 관계 없이 먼저 구매한 재고자산이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
다. 후입선출법
- 재고자산의 실제물량흐름과 관계없이 최근에 구매한 재고자산이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
라. 평균법
- 재고자산의 실제물량흐름과 관계없이 기초재고와 당기매입한 재고가 평균적으로 판매 된다고 가정함.
'회계 > 회계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형자산 2 (0) | 2020.11.30 |
---|---|
투자자산 유형자산 1 (0) | 2020.11.27 |
매출채권 및 대손충당금 (0) | 2020.11.25 |
현금 및 현금성자산, 금융상품, 유가증권 (0) | 2020.11.22 |
재무상태표의 구조 및 작성원칙 (0) | 2020.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