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회계원론

재무상태표의 구조 및 작성원칙

Tconomics 2020. 11. 19. 23:58

4.1 재무상태표의 구조

직전 사업연도 말 자산규모가 120억 이상인 주식회사는 회계감사를 받아야 하며 이로 인해 재무제표의 신뢰성이 제고된다.

재무상태표는 자산 = 부채 + 자본으로 구성된다.

자산 = 유동자산(당좌 + 재고 ) + 비유동자산( 투자 + 유형 + 무형 + 기타비유동자산)

4.1.1 유동자산

- 1년 또는 정상영업주기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 당좌자산 : 유동자산 중에서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 유동자산 중 재고자산이 아닌 것 )

  . 재고자산 : 생산 및 판매과정을 거쳐 현금을 회수하여야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4.1.2 비유동자산

- 유동자산에 속하지 않는 자산

. 투자자산 : 투자수익의 목적으로 보유하며, 주된 영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자산

. 유형자산 : 영업수익을 목적으로 구체적 형태가 있는 자산 ( 건물 , 기계, 토지 등 )

. 무형자산 : 영업수익을 목적으로 구체적 형태가 없는 자산 ( 지적 재산권, 소프트웨어 등 )

. 기타비유동자산 : 비유동자산이나 투자목적, 사용목적도 아닌 자산 ( 임차보증금 )

 

부채 = 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자본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순수한 자기자신만의 재산을 말한다. ( 순 자산 )

 

차변

대변

자산 (+)

부채와자본(+)

부채와자본(-)

자산 (-)

 

4.2 재무상태표의 작성원칙

재무상태표는 구분표시, 총액주의, 1년 기준, 유동성배열법, 잉여금구분의 원칙, 미결산항목 및 비망계정 등 6가지 원칙에 의해 작성되어야 한다.

 

4.2.1 구분표시

재무상태표 항목을 적절히 구분표시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한다.

4.2.2 총액주의

자산 부채 자본은 순액으로 표기하지 않고 총액으로 기재한다.

4.2.3 1년 기준

자산과 부채는 결산일 현재 1년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표시된다.

4.2.4 유동성배열법

자산 부채는 현금화속도가 빠른순서로 배열한다.

4.2.5 잉여금구분의 원칙

자본항목 중 잉여금은 주주와의 거래인 자본잉여금과 영업활동의 결과인 이익잉여금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4.2.6 미결산항목 및 비망계정

가지급금, 가수금 등의 미결산계정은 그 내용을 나타내는 적절한 계정과목으로 표시하여야 함.

'회계 > 회계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자산  (0) 2020.11.26
매출채권 및 대손충당금  (0) 2020.11.25
현금 및 현금성자산, 금융상품, 유가증권  (0) 2020.11.22
복식부기의 원리  (0) 2020.11.16
회계와 재무제표  (0) 2020.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