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장인이라면 우리들의 연금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곧 고갈된다는 뉴스를 많이 접해봤을겁니다. 20-30 대는 고갈된 국민연금으로 인해 연금을 수령하지 못할것이라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과연 국민연금은 돈을 얼마나 벌고 , 얼마나 지출하는걸까요 ? 한번 확인 해보려고 합니다.
*모든 자료는 국민연금기금운용 사이트에서 발췌하였습니다.
2. 우선 국민연금의 기금 운용 현황 입니다.
지금까지 633조의 보험료를 받아 459조의 수익을 냈습니다. 또한 연금급여 지출은 237 조원을 사용했네요 .
855조원을 2021년 1월 말 기준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1988년에 시작해 약 33년이 지난 현재 855조원의 기금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3. 기금운용 수익율 현황
국민연금은 연평균 5.86%의 수익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2019년 , 2020 년 10% 가 넘는 성장을 연속적으로 이루어냈습니다.
4. 기금 운영 현황 및 자산배분 정책
현재 운영중인 국민연금의 기금 포트폴리오입니다. 국내주식이 21%인데 아래를보면 2021년말 까지 16.8 %로 축소할 예정인가봅니다...
...? 큰일이군요.... 다른자산들이 현재상태를 유지한다면 국내주식, 해외주식을 팔아 대체투자와 해외채권의 비중을 늘리겠네요.... 연못속의 고래 이기에 연못속의 플랑크톤인 개인주주들은 주가가 눌리거나 내릴 수 있겠네요...
국민연금과 같이 큰 자금을 운용하는 회사들은 일정 주기별로 자산배분을 진행합니다. 주식이 많이 올랐다면 주식을 팔아 부족한 자산을 매입하는 것이죠 .
반면 주식이 많이 떨어져 포트폴리오상 채권의 비중이 늘어났다면 채권을 매도하고 주식을 매입해 포트폴리오 비중을 맞춥니다.
그리하여 단기 급락시에도 자연스레 자산배분을 통해 경기가 정상화 됐을때 수익을 얻을 수도 있으며 , 유가증권시장의 안전성을 도모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들어 국민연금이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으로 엄청나게 주식 물량을 쏟아내 말이 많았습니다.
사실 국민연금의 입장에서 보면 자산 리밸런싱은 당연한겁니다. 수익을 얻었으니 수익을 실현하고 리밸런싱해 국민의 연금을 안전히 운영해야 하는것이지요.
반면 개인주주입장에서는 박스피에서 이제 겨우 탈출하나 했더니 코스피 3200에서 다시 내려와 박스피를 형성하는것 아닌가? 박스피를 국민연금이 조성하는게 아닌가 하는 불만이 있기도 합니다.
두견해 모두 이해가 가기에 뭐 별 코멘트 할건 없습니다. 국민연금이 수익을 본다면 연금이 확보되어서 좋은것이니까요 .
하지만 국내 여론에 따라 정부에서 나서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조정하는걸 막는다면 그건 좀 다른 이야기 인것 같습니다.
정부 입맛에 맞추어 투자하는 연금이라... 연금을 더이상 넣고싶어지지 않아지는군요.
5. 자산운용 정책
국민연금은 위와같은 자산운용정책을 바탕으로 자산운용을 해 나아갑니다.
자산 리밸런싱같은경우에는 자산군별 한도가 넘으면 해당 자산을 매각하고 부족한 한도의 자산을 채워넣어 위험을 회피하는 수단입니다.
다른 위험관리 내용은 내부의사결정에 따라 다를 수 있기에 설명하기가 조금 어려운것 같습니다.
6. 기금 사용 현황
기금 지출내역을 보면 1년간 연금 급여 지급액은 약 25 조 입니다. ( 2020년 기준 ) 은퇴 인구가 늘어날수록 점진적으로 늘어나겠군요 .
다행인점은 연금보험료가 51조원이며 , 18조의 운용수익을 얻었습니다. 그럼 69조의 수입 , 25조의 지출이 발생한겁니다.
그럼 44조의 수익이 남아있게되는데 아래 기금증가액을 보면 43조원으로 되어있습니다. 관리운영비가 약 7천억원 발생하는군요.
아직까진 수입이 지출보다 많아 연금 운용액은 증가할것으로 보입니다.
6. 걱정할점은 인구가 줄어듬에 따라 연금 보험료가 일정시점이 되면 줄어들것이며 , 연금 급여지급은 증가할것입니다.
그럼 이 문제를 국민연금을 어떻게 해결할까요 ?
가장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연금 개시 연도를 조금 더 늦추면 투자금액의 모수가 늘어나게되는데 그럼 기금운용 수익만으로도 연금보험료를 지급할 수 있는 시점이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 인간의 평균 수명은 거의 정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길게 늘어나도 모두가 100세 까지 살 수 있는건 아니니까요 )
다른 방법으로는 선진국, 인구구조가 유지되는 나라의 산업에 투자하거나 , 그 나라의 상업용 부동산에 투자해 우리나라 국력이 나빠질 경우를 대비하여 임차 수익을 국내로 보내오는 투자를 집행해도 좋을것 같습니다.
뭐 이건 개인적인 생각이며, 국민연금의 뛰어난 전문 운용역들이 잘 해주리라 믿습니다.
* 해당글은 국민연금 기금운용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내용에 개인적인 생각을 붙인 글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기말 삼성물산 배당통지 ( 4월 16일 입금예정 ) (0) | 2021.04.12 |
---|---|
삼성전자의 특별배당금 영향도분석 ( with 삼성생명 , 삼성물산 , 삼성화재) (4) | 2021.04.10 |
삼성전자 주주는 2020년 기말 배당을 얼마나 받을까? (0) | 2021.04.09 |
삼성전자 2020년 기말배당금 ! (0) | 2021.04.09 |
기업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해보기(2) 삼성SDI (0) | 2021.04.07 |